뇌수막종 암진단금 가능합니다!!
뇌수막종이란 뇌를 둘러싼 지주막 세포(arachnoid cell)에 발생하는 종양으로 MRI나 CT로 촬영해보면 종양의 크기, 성상, 위치등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물론 조직검사를 해서 확진이 이뤄지지만 MRI나 CT를 통해서도 어느정도는 뇌수막종인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죠.
일반적으로 수막종은 천천히 자라는 양성종양이 보통이지만 몇몇 케이스에선 주변 뇌 조직을 침윤하거나 재발을 하는 등 악성종양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 악성인지 양성인지를 가름하는 중요한 지표가 종양의 성장속도와 침윤, 전이 정도이죠.
■ 암진단 기준은 무엇일까요?
암보험 암진단은?
01,
종양의 조직을 현미경 관찰해서 종양이 어떤것인지(경계성, 양성, 악성) 분류 하는 방법이 있고,
02,
첫번째 방법으로도 진단이 힘들때, 악성종양에 준하는 치료를 받았다는 문서기록이 있는 경우, 그 자료를 입증근거로 해서 임상적 악성종양으로 인정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 뇌수막종에서 분쟁이 발생하는 이유는?
앞서 말씀드린대로 뇌수막종은 악성보단 양성인 경우가 많아서 보험사에선 뇌수막종에 대해 "조직학상으론 양성이기 때문에 암진단금을 지급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그렇지만 뇌수막종 환자는 종양을 제거했다는 것으로 완전히 마무리 되는게 아니기 때문에, 수술위험성이나 연령(고령인 경우 등)과 같이 수술의 위험요소등을 감안해 감마나이프 수술방식이나 방사선 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종합적 임상상태를 고려해 경과를 관찰하며, 힘든 시기를 이겨내기 위해 노력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때문에!!!
이 힘든 과정을 이겨내기 위해서라도, 매달 보험료를 납입하며 보장받고자 했던 것을 보험사가 거부하면 안그래도 병마와 힘든 싸움을 해야하는 입장에서 더한 어려움에 처하게 될 것입니다. 부당한 일이라면 모를까 정당한 자기 권리를 찾는건 그래서 더 중요한 것이죠.
뇌수막종에 대해 보험사측이 암보험금 지급거부에 대한 근거가 있다고 주장한다해도 그것을 “그렇구나..” 라고 마냥 인정할수만은 없죠. 보험사의 주장에 헛점은 없는지 사실파악에 오류는 없었는지 한번 더 점검해보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것이 현명합니다.
저희 '광주손해사정 가이드'는 암보험금이 지급되어야 하는 근거를 약관 해석 및 전문적인 의학지식을 토대로 보험사가 납득할 수 밖에 없는 근거를 제시해 고객이 정당한 보상을 받으실 수 있도록 든든한 파트너가 되어드리겠습니다. 더 궁금하신 점은 아래 배너를 "클릭!"하셔서 직접 전화주시거나 본 홈페이지내 '고객상담'페이지에서 상담메일을 보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