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사례

■ 합의란?

 

재판에 의하지 않고 당사자간에 존재하는 분쟁을 사적으로 해결하는 약정을 말합니다. 교통사고 후 피해자와 보험회사 사이에 합의가 이루어졌다면 당해 사고로 인한 손해에 대하여 피해자는 더 이상의 배상청구 할 수 없게 되는것이지요 

 

 

 

■ 합의의 효력

 

합의가 있게 되면 법률관계는 합의 내용에 따라 확정되고 이를 서로 다툴 수 없게 되며 한번 이루어진 합의는 번복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 합의 후 발생한 손해

 

한가지 예로, 피해자 김OO씨의 경우 버스와의 추돌사고로 병원에서 2주간 입원치료를 받은 후, 보험회사와 합의하였으나 그 후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병원에서 요추MRI 검사를 시행해본 결과 “추간판 탈출증” 진단을 받아 수술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와같이 합의 당시엔 미처 알지 못했던 질환으로 인해 추가 입원치료 및 수술을 시행받은 경우들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대부분이 사고와 별개로 생각하시거나 사고이후 아프긴 하지만 합의로 인해 마무리되었다고만 생각한 나머지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일들을 접하곤 합니다.  

 

 

 

 

■ 어떻게 해야할까?

 

합의당시 당사자가 알지 못했던 손해라든가 합의후 증대된 손해에 대하여는 법적 안전성 범위내에서 피해자를 구제할 수 있습니다.

  

즉, 사고와 금번 새로이 알게된 손해와의 인과관계에 대한 의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합의취소 사유를 통해 새로이 손해에 대한 보험금을 산정하여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교통사고 합의와 그에따른 보상금의 지급에 관련해서는 특히 더 아는만큼 고객님 자신의 권리를 지킬 수 있습니다. 손해사정 가이드가 고객의 정당한 권리를 찾아드릴 것입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온라인 무료상담을 통해 한번 더 확인하시기 바랍니다.